본문 바로가기
건축,토목 서식/공사양식

균열 보수 계획서(균열보수대장) 양식 | 기록 방법

by 서식자료실 2025. 4. 6.
반응형

 

콘크리트는 재료 배합, 시공, 환경, 외력 등의 이유로 균열 발생이 생기고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 수명을 단축시켜 균열로 인한 구조물 2차적인 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적절한 보수공법으로 균열 방생을 억제하고 시시각각 균열 보수 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균열관리대장 기록방법

1. 콘크리트 균열관리 개요

  • 균열 방치 시 우수 / 염화물이 침투하여 철근부식 등 발생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악화
  • 정기적 균열조사 / 균열관리 / 균열폭에 따른 보수실시: 기타설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관리 필요

2. 콘크리트 균열관리 대장 기록 전 균열조사 시 확인 사항

  1. 균열의 분포도
  2. 균열의 폭, 길이, 방향
  3. 균열의 관통, 누수여부
  4. 균열 발생시기, 진행서 유무, 균열 구조물 주변환경
  5. 균열 전달 경로

3. 균열관리대장 기록 사항

  1. 대상 구조물 명
  2. 대상 구조물 위치
  3. 대상 구조물 형식
  4. 대상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일
  5. 타설 시 온도 및 기상
  6. 거푸집 탈형일
  7. 균열 전개도
  8. 균열 발생부위와 발생원인

※ 균열조사 및 균열관리대장 작성 시 유의사항

  • 균열 길이 측정 시 균열 양 끝단에 균열 끝 표시&날짜 표기: 균열의 길이가 늘어나는지 여부 확인
  • 균열 폭의 변동 측정 시 최초 측정 위치를 구조물에 기록: 재측정 시 같은 위치에서 측정
  • 균열폭 0.1mm 이상 균열: 균열관리대장 & 구조물 동시기록

 

보수공법의 종류

  • 표면처리법: 0.2mm 이하 구조적 강도회복을 요하지 않는 균열: 0.2mm 이하의 미세하고 구조적 강도회복을 요하지 않는 균열 위에 도막을 형성해 방수성과 내구성을 향상하는 방법. (보수재료: Epoxy 계 / Tar Epoxy 계)

  • 충전공법: 균열 채움재로 탄성이 있는 보수재 사용 시 적용: 균열의 폭이 0.5mm 이상으로 표면처리법 대비 비교적 균열이 큰 경우 보수에 적합합니다. (보수재료: 에폭시 수지계 모르터 / 실란트계, 우레탄계(신축, 탄력성)

  • 주입공법: 주입부 방수성 향상 / 콘크리트 내부 철근 방청효과: 균열의 표면보수 뿐만 아니라 지수성 확보와 철근의 방청을 위해 내부 균열까지 충전시켜야 하는 상황 적용되는 공법 (보수재료: Epoxy 수지계, 시멘트계)

  • Prestress 공법: 인장응력을 감소시켜 균열 복귀
  • 탄소섬유 감기공법: 섬유 인장강도, 시공성, 내구성, 내부식성 우수

 

균열보수계획서 첨부

균열보수계획서 양식
균열보수계획서


균열보수계획서 양식.hwp
0.04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