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토목 서식/공사양식

[양식] 공사내역서 단가산출 토량환산계수(f) 적용 방법

by 서식자료실 2025. 3. 17.
반응형

 

단가산출에 쓰는 f 값은 수량산출하여 내역서에 입력하는 수량의 체적상태와 작업기계의 체적상태에 의해 결정됩니다. 단가산출에 쓰이는 f 값은 사용장비의 기계용량을 내역서에 입력하는 수량의 체적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만들어 동일한 조건으로 가격을 산출하기 위함입니다.

 

단가 사출 예시

사용기계를 정하고 1㎥ 당 가격을 가정하여 단가를 산출, 괄호의 내용은 사용장비에 따라 구분되는 기계용량의 체적상태 기준입니다. 백호우와 버켓용량은 느슨한 토량을 기준으로, 운반덤프의 덤프용량 또한 느슨한 토량으로 기준, 콤팩터의 작업용량은 다짐토량을 기준

  • 터파기: 백호우 1,000원/1㎥ 당(느슨한 토량)
  • 잔토: 덤프트럭 3,000원/1㎥ 당(느슨한 토량)
  • 되메우기: 콤팩터 2,000원/1㎥ 당(다짐토량)

 

현재 토공을 산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내역입력수량산출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단가를 산정

터파기 1500,0000 자연상태
잔토 128.5714 자연상태
되메우기 1200.0000 다짐상태

 

터파기수량 1500은 자연상태의 작업토량이며, 잔토수량 128.571 또한 자연상태의 작업토량입니다. 되메우기 수량 1200은 자연상태가 아니라 다짐상태로 되메우기량 1200은 다짐하며 작업해야 할 수량이기 때문에 내역입력수량산출방법의 계산수량을 내역서 입력수량으로 단가를 계산합니다.

터파기: 1500 x 1.25 = 1875000원 내역서 입력수량: 1500
잔토: 128.5714 x 1.25 x 3000 = 482142원  내역서 입력수량: 128.5714
되메우기: 1200 x 1 x 2000 = 2400000원 내역서 입력수량: 1200
총계: 4757142

 

  • 흐트러진 계산수량을 내역서 입력수량으로 할 경우
터파기: 1875 x 1000 = 1875000원 내역서 입력수량: 1875
잔토: 160.7143 x 1 x 3000 = 482142원 내역서 입력수량: 160.7143
되메우기: 1714.2875 x 0.875 / 1.25 x 2000 = 2400000 내역서 입력수량: 1714.2875
총계: 4757142

 

유의사항

터파기에서는 환산계수(f)가 1, 잔토에서는 환산계수가 1, 되메우기에서는 환산계수가 0.875/1.25가 됩니다. 자연상태의 계산된 수량으로 해도 다져진 상태의 수량으로 해도 동일한 단가가 나와야 합니다. 단가산출서에 쓰이는 환산계수는 단가를 보정하기 위한 계수인 것입니다. 내역서입력수량의 체적상태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 환산계수(f)도 계속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산출하는 수량산출계산값이 어떤 체적상태냐에 따라 환산계수(f)가 변화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가장 헷갈리거나 착각하는 환산계수가 덤프단가입니다. 내용입력수량에 따라 f가 변하는 것을 쉽게 알아차리지 못해서이며, 결론적으로 단가산출로 계산된 덤프 총금액은 어떤 수량을 내역입력하든지 모두 같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 더 보기


환산계수(f)적용방법.xls
0.03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