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중 콘크리트는 기온이 4도 이하 기상조건에서 응결강화 반응 지연으로 밤이나 새벽뿐만 아니라 낮에도 콘크리트가 동결할 가능성이 있을 때 시공하는 콘크리트입니다.
시공 시 문제점
- 온도가 낮으므로 응결과 경화가 지연되어 강도 증진이 느려짐
- 초기 동해 발생 시, 강도가 30% 저하되는 것과 동시에 수밀성, 내구성, 강재보호성능이 일제히 저하되어 열화가 촉진됨
- 경화가 늦고 동결 팽창 위험까지 있어 거푸집 측압이 일반 콘크리트보다 큼.
시공관리 방안
(재료)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초기강도 확보가 어렵고 수화열 균열 문제가 없는 경우 상황에 따라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합니다.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가열은 금지되며, 냉각 및 동결되지 않도록 방습 시설 등에 저장합니다. 저온 장기 보관한 시멘트는 시험으로 품질 확인 후 사용합니다.
골재 역시 가열금지되며, 저장 시 눈을 맞거나 냉각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알칼리 반응성 골재는 사용 금지되며, 혼화제는 공기연행제, 공기연행 감수제, 고성능 감수제, 조강제가 있습니다.
(배합)
- 물결합재비는 60% 이하
- 초기 동해 방지하기 위해 단위수량 적게
- 동결 부피 증가에 저항하기 위해 공기 연행제, 공기연행 감수제, 적정 범위 내 적극 활용합니다.
- 믹서 투입 재료 순서는 더운물&굵은 골재 - 잔골재 - 시멘트 순서로 하되, 콘크리트 배합 시 온도는 30도 이하로 관리
시공 시 주의사항
- 타설 시 콘크리트 온도: 5~20도 범위를 유지 (부재두께가 얇거나 기상조건 좋지 못하면 최저온도 10도를 유지)
- 철근 및 거푸집의 얼음과 눈을 반드시 제거합니다.
- 콘크리트 펌프 사용 시, 펌프 관 예열 및 보온하고 필요시 바람막이를 설치합니다.
- 양생 시 온도는 10도 정도가 좋습니다.
- 양생 후에는 콘크리트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도록 보온대책이 필요
- 콘크리트 보온 시 덮기 순서는 비닐-보온포-부직포 순으로 덮습니다.
- 양생을 끝낼 시기는 현장 콘크리트와 동일한 온도에서 양생 하는 공시체 강도 시험을 통해서 정하거나 적산 온도로부터 추정합니다.
동결 방지 조치
기온 | 시공방법 |
0~4도 | 간단한 주의와 보온 |
-3~0도 | 재료(물, 골재)의 가열 + 적절한 보온 |
-3도 이하 | 재료(물, 골재)의 가열+적절한 보온+급열 |
한중 콘크리트 점검표 첨부
반응형
'건축,토목 서식 > 콘크리트 품질 서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미트해머 압축강도 시험일지 양식] (0) | 2024.05.02 |
---|---|
[슈미트해머 테스트 용지 양식] (0) | 2024.05.02 |
[서중 콘크리트 점검표 양식] 시공시 문제점 시공관리 방안 (0) | 2024.05.01 |
[콘크리트 점검 리스트 양식] 균열발생 시기별 균열 종류와 특징 (0) | 2024.04.30 |
[콘크리트 온습도 관리대장 양식] 습윤양생 기간 (0) | 2024.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