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토목 서식/공사양식

전국 작업환경측정기관 현황표 다운로드 | 측정기관 평가등급 기재

by 서식자료실 2025. 3. 14.
반응형

 

매 2년마다 실시되는 작업환경측정평가는 산업 현장에서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작업환경을 측정하는 전국 작업환경측정기관으로 평가등급을 포함 사업장에서 유해 인자의 노출 수준을 평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측정 대상

  • 화학적 유해인자: 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금속류, 가스 및 증기(벤젠, 톨루엔) 등
  • 물리적 유해인자: 소음, 진동, 조도, 온·습도, 방사선 등
  • 생물학적 유해인자: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
  • 인체공학적 유해인자: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자세, 중량물 취급 등

측정 과정

  1. 사업장 방문 및 작업환경 조사
  2. 유해 인자 샘플링(공기 중, 표면 오염)
  3. 실험실 분석(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요인 분석)
  4. 결과 보고서 작성 및 권고사항 제공
  5. 법적 기준 초과 시 개선 조치 권고

결과 및 활용

  • 측정 결과는 사업장이 산업안전보건법 기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데 활용하며, 기준 초과 시 사업장은 작업환경 개선 조치를 시행해야 하며, 정부의 관리·감독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평가 등급(S, A 등)은 기관의 신뢰도를 나타내며, 높은 등급을 받을수록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기관으로 인정됩니다.

 

산안법 시행규칙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별표 21]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제186조제1항 관련)(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1).pdf
0.20MB

 

 

 

 

작업환경측정기관 현황 첨부

작업환경측정기관 현황
작업환경측정기관 현황


240716 작업환경측정기관 현황(22년 평가등급 포함).xlsx
0.03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