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토목 서식/공사양식

[양식] 2025년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 계상 및 사용기준

by 서식자료실 2025. 4. 14.
반응형

 

발주자가 도급계약 체결을 위한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을 작성하거나, 자기 공사자가 건설공사 사업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산정한 금액 이상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계상하여야 합니다. 

 

사용기준

1. 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 임금

  • 안전관리 또는 보건관리 업무만을 전담하는 안전관리자 또는 보건관리자의 임금과 출장비 전액
  • 안전관리 또는 보건관리 업무만을 전담하지 않는 안전관리자 또는 보건관리자의 임금과 출장비의 가각 2분의 1에 해당하는 비율

2. 안전시설비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난간, 추락방호망, 안전대 부착설비, 방호장치 등 안전시설의 구입·임대 및 설치 등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
  • 스마트 안전장비 구입·임대 비용 (계상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총액의 10분의 2를 초과할 수 없다.)
  • 용접 작업 등 화재 위험작업 시 사용하는 소화기 구입·임대비용

3. 보호구

  • 안전관리자 등의 근로자가 보호구를 직접 구매, 사용하여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보전하는 비용
  • 안전관리자 등의 업무용 피복, 기기 등을 구입하기 위한 비용
  • 안전보건 점검 등을 목적으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사용하는 차량의 유지비, 수리비, 보험료

4. 안전보건진단비

  •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 등에 소요되는 비용
  • 안전보건진단에 소요되는 비용
  • 작업환경 측정에 소요되는 비용
  • 산업재해예방을 위해 법에서 지정한 전문기관 등에서 실시하는 진단, 검사, 지도 등에 소요되는 비용

5. 안전보건교육비

  • 교육을 위해 건설공사 현장의 교육 장소 설치, 운영 등에 소요되는 비용
  • 안전보건 교육 대상자 등에서 구조 및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

6. 근로자 건장장해예방비

  • 중대재해 목적으로 발생한 정신질환 치료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
  •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마스크, 손소독제, 체온계 구입비용, 감염병병원체 검사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
  • 휴게시설을 갖춘 온도, 조명 설치 관리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
  • 자동심장충격기(AED) 구입 비용

 

공사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표

공사종류 대상액
5억원
미만인
경우
적용비율
(%)
대상액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대상액
50억원
이상인
경우
적용비율
(%)
보건관리자
선임대상
건설공사의
적용비율
(%)
적용
비율
(%)
기초액
건축공사
토목공사
중건설공사
특수건설공사
3.11%
3.15%
3.64%
2.07%
2.28%
2.53%
3.05%
1.59%
4,325,000원
3,300,000원
2,975,000원
2,450,000원
2.37%
2.60%
3.11%
1.64%
2.64%
2.73%
3.39%
1.78%

 

고용노동부 2025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첨부

2025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 고용노동부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계상+및+사용기준_고용노동부+고시+제2025-11호.hwpx
0.10MB

 

 

 

 

 

 

반응형